......................................................................................................................................................................................................................
Mattias

Mattias

Mattias

Mattias

Carolina

Carolina

Carolina

Carolina

Stefano

Stefano

Stefano

Stefano

Silvia

Silvia

Silvia

Silvia

Chris

Chris

Chris

Chris

Christina

Christina

Christina

Christina

Andy

Andy

Andy

Andy

Judith

Judith

Judith

Judith

Simon

Simon

Simon

Simon

Kamal

Kamal

Kamal

Kamal

Temporary Londoner

Temporary Londoner

Work statement

A city is both organic and standardized. The rapidly changing urbanity offers as many opportunities, but is also enough to instill a sense of fear of being left behind. The organic city bestows roles to its societies and individuals to ensure its own survival, and the individual in turn gains relief of belonging by fulfill these roles. There are times an urbanite seeks to leave the city due to recognition of the self or doubt over the hectic lifestyle, but ultimately the individual who chose the urban life will come to terms that he or she will not break away from the bustle and will focus on his or her role as an urbanite than looking inwards. Such a course of voluntarily but bounded procedures serves to mandate the standard systems. The wording that ‘individuals may demand the right to liberty and to be accepted in their uniqueness, whereas society may only recognise them as a component, subject to its supra-individual laws’ (Simmel, 2007, p.160) applies not only to the overall society of today, but well-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in a contemporary city. Today’s cities ‘can be collectively orchestrated without being the product of the organizing action of a conductor’ (Bourdieu, 1990, p.53).

An individual’s urban life is an interaction between the city dwellers as Goffman(1990) or Garfinkel(1984) said. Actions are not solely of oneself or for oneself; but are evidently aware of others even if not undertaken for the sake of others. Daily lives are shap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self and others, and thereby hold significance. To adjust to a rapidly-changing city and to meet one’s motivations – or goals – of choosing such a life, one learns to let part of him or her go. Individual lives derived from relationships – the individuality that have been reverted to society – form our social foundation. ‘Actually the basic unit of a group is not the complete human person but only a portion of him—that portion which conforms to the common aspirations. To the extent that an individual belongs much of him drops out of the picture. This is not disproved by the fact that many a party member devotes himself body and soul to the Cause; the impassioned partisan expunges part of his possibilities to play his part wholly’ (Kracauer, 1995, p.22). The extent of belonging depends on the goals and the size of aspiration one seeks in the city.  Then would the expunged parts come together in a society as a whole individual? This leads to the question of whether an identity and values set within a relationship exist only as part of the society and no longer as an individual. The answer to if uniquely individual values persist in a web of complex relationships may be found from a stranger. Perhaps all urbanites are strangers. City dwellers chose as such because their livelihoods are in the city or what they seek may be found with greater ease in the city. Their days are shaped not because that is how it has been done thus far, but as a choice to be different.  Such difference may be deemed identical under the umbrella of a city, but we all aspire for something that is set apart of the standardized form of a city. We let ourselves to be taken by the tide of the urban flow saying that “I want something different” without even knowing what that difference would be. This, however, is their value and existence. And this is the source of the sense of being a stranger. ‘The aspects of things that are most important for us are hidden because of their simplicity and familiarity. (One is unable to notice something—because it is always before one's eyes.) The real foundations of his enquiry do not strike a man at all. Unless that fact has at some time struck him. And this means: we fail to be struck by what, once seen, is most striking and most powerful’ (Wittgenstein, 1986, p.50).

This work is about such hidden elements. It is about what we know but fail to found; the value and existence that are in us but lay unearthed as we move along with the fast pace of the city. As noted, all urbanites are foreigners. They conform to their society and give up certain parts of oneself in that feat. To be assimilated in today’s ever-shifting environment is to let go of a certain self. This is tantamount to forgoing one’s holistic existence and becoming a stranger in the city. This suggests the collision between individual and urban values; and this is more acute in true strangers in a substantial sense than those who are simply outsiders. Those who were born and raised in the city have absorbed its ways, conformed, and lead their lives without many ups and downs. These rules are the history of the society and the individual. The history of the society is not tumultuous within a short frame of time, and you may lead a comfortable life once you go along with the tide. But strangers may not avoid the collision between the individual history and that of the new society. Even as cities have come to offer similar life styles with globalization, previous individual value is bound to conflict in a new environment. To forsake who you had been to be part of a new society is an impossible feat even to strangers. To transform one’s history and the system that has grown on you lies beyond one’s scope of will power. In a new surrounding a person’s original values and existence are kept away. This could be in a photograph, in space where one’s building a new life, or in a prized possession. This serves as a means to retain one’s original value or to confirm where one stands at the moment. It is ‘a certain matter that acts as an analogon, as an equivalent of perception’ (Sartre, 2004, p.18) to an individual. A space is the sum of its present and the past. Such sums may drive us toward a more uniform world; but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in a society, it is a barometer of where and how our values persist. This is more prominent in strangers, but it also is a hint into how the rest of us found respite in the society, and confirm and safe-keep part of our values. Individual life is vested in the society, but is also valid in itself. It is just that urbanites fail to discover what is laying before them. The Temporary Londoner is the work regarding individuals living in the city of London with the specific objective of gaining an education. They all come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live in the metropolis with each of their own goals like any other urbanite. The items that have chosen as strangers are not those of London or are pricey, but what still breathes of their pasts. Their living spaces add their own rules and conventions to that of a contemporary Londoner to preserve each identity and value. They are currently Londoners, but nobody can tell if they will go on to stay in the city. But what is certain is that their value and existence will converge with the city to create something new and another chapter in individual history. 

--------------------------------------------------------------------------------------------------------------------------------------------------------------

작업노트

도시는 하나의 살아움직이는 유기체임과 동시에 정형화된 공간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의 모습은 하나의 개인에게 그 속도만큼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자칫하면 그가 속한 사회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유기체로써의 도시는 그 스스로의 생존을 위해 도시 안의 사회와 개인에게 역할을 부여하고, 개인은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개인이 그 도시에 속해있다는 안도감을 얻는다. 때로는 개인의 자신의 존재에 대한 자각에 의해, 혹은 바쁜 삶에 대한 회의감 등으로 도시를 벗어나기를 꿈꾸기도 하지만 결국 도시인이 되기를 스스로 선택한 개인은 스스로가 선택한 삶이기에 벗어날 수 없는 곳으로 간주하고 자기자신에 집중하기보다 도시인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더 집중한다. 이런 자율적이지만 결코 자유롭지만은 않은 일련의 과정들은 정형화된 시스템을 지킬 수 있게끔 강제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사회에서 개인은 자유와 특수성의 권리를 요구한다. 반면 사회는 그를 단지 초개인적인 사회적 법칙에 예속된 요소로 인정하려 한다.'(짐멜Simmel, 2007:15)는 말은 오늘날 사회 전체를 아우르는 말임과 동시에 특히 현대 도시에서의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가장 잘 드러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오늘날의 도시는 ‘지휘 없이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오케스트레이션’ (Bourdieu 1990:53)이다.

이러한 도시에서 개인의 일상은 고프만Goffman이나 가핑클Garfinkel이 말했듯이 사회구성원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만들어진다. 개인의 행동은 개인만의 것이라거나 순수하게 자기자신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타인을 위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분명 타인을 의식하는 행위들이다. 개인과 타인의 관계 속에서 일상은 만들어지고 이를 통해 비로소 사회 속에서 개별 일상에 대한 의미가 부여된다.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에 적응하며 살아가기 위해, 그리고 변화무쌍한 도시의 삶을 선택하게끔한 개인의 동기—달리말해 자신의 목적달성—를 위해 개인은 자기자신의 일정부분을 포기하고 살아간다. 타인과의 관계에 따른 개별 일상에 대한 의미, 즉 사회의 일부로 환원된 개인의 일부가 모여 사회가 지탱되는 근간이 되는 것이다. 실제로 집단의 기본 단위는 온전한 인격적 개인이 아니라 개인의 한 부분—집단적 염원에 부응하는 부분—이다. 개인의 ‘소속’정도가 클수록 개인의 더 많은 부분이 시야에서 사라진다. 대의에 혼신을 다하는 당원이 많다는 사실이 그에 대한 반론이 되지는 못한다. 열혈 당원은 자신의 역할을 온전하게 이행하기 위해 자신의 가능성 일부를 저버린다.(크라카우어Kracauer, 2012:38) 여기서 개인의 ‘소속’정도는 개인이 도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염원의 크기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에게서 사라진 부분들은 오롯이 사회에 귀속되어 그 합이 하나의 개인을 이루게 되는 것일까? 타인과의 관계 속에 설정된 개인의 정체성과 가치는 더이상 개인으로 존재하지 않고 사회의 일부로만 존재 가능한 것일까하는 의문이 생겨나게 된다. 복잡한 관계로 구성된 사회 속에서 개인만의 가치는 실재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에 대한 답은 이방인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어쩌면 모든 도시인은 이방인일지도 모른다. 도시인들은 그들의 삶의 터전이 도시이기 때문에, 그들이 얻고자 하는 것이 도시 안에 더 많이 있기 때문에 도시를 선택하고 그 도시 안에서 살아간다. 그렇게 살아왔기 때문에 살아가는 것이 아닌 다르게 살아가기 위해 선택하고 그들만의 일상을 만들어 간다. 비록 이 다르다는 것이 ‘도시’라는 이름 아래 묶여 모두 같은 것으로 치부되더라도 정형화된 도시의 모습과는 다른 무엇인가를 늘 바라고 원한다. 바라는 ‘무엇’이 무엇인지도 모른채 ‘나는 무엇인가 다른 것을 원해’라고 말하며 도시의 흐름 속에 몸을 맡긴채 살아간다. 하지만 이 무엇인가가 바로 그들 자신의 가치이며 존재이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그들 스스로를 이방인으로 느끼게 만드는 근원이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사물들의 측면들은 그 단순성과 일상성으로 인하여 숨겨져 있다. 우리는 그것들을 깨달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언제나 우리 눈앞에 있기 때문이다. 사람에게 자신의 탐구의 진정한 기초는 전혀 눈에 띄지 않는다. 이 사실이 언젠가 그의 눈에 띄지 않는다면. 그리고 이는, 한번 눈에 띄면 가장 이목을 끌며 가장 강력한 것이 우리 눈에 들어오지 않고 있음을 뜻한다.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 1993[1968] Philosophical Investigation:85)

이 작업은 바로 이런 숨겨진 것들에 대한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으면서도 찾지 못하는 것들, 이미 우리 안에 숨쉬고 있지만 도시의 빠른 흐름을 함께하느라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있는 가치와 존재에 대한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모든 도시인들은 하나의 이방인으로써 살아간다. 자신이 속한 사회에 충실해야하고 사회에 속하기 위해 자신의 일부를 포기한다. 오늘날 ‘사회에 동화된다는 것’은 –특히 급변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 자신의 존재의 일부를, 가치의 일부를 내려놓는 것이다. 이 내려놓음으로 인해서 개인은 완전한 개인으로서의 존재를 포기하는 것이며 필연적으로 도시에 속한 이방인이 되기를 자처한다. 이는 개인과 도시의 가치의 충돌을 의미하며 이러한 현상은 ‘진정한 이방인’, 즉 단순한 변방자outsider라기 보다 실제적 의미에서의 이방인stranger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왜냐하면 한 도시에서 나고 자란 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그 도시의 생리를 몸으로 흡수하여 그 안에서의 규칙에 순응하며 대개 큰 흔들림 없이 살아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규칙들은 한 사회의 역사이자 개인의 역사이기도 하다. 많은 경우 사회의 역사는 짧은 기간 속에서는 잔잔하게 흘러가고 이에 따라 개인 또한 이 흐름에 몸을 맡기기만 하면 큰 어려움없이 사회 속에서 살아갈 수 있다. 하지만 이방인의 경우 개인의 역사와 현재는 새로운 사회와의 충돌을 피할 수 없다. 글로벌화로 인해 전세계가, 특히 많은 도시들이 비슷한 삶을 영유하게 되었음에도 개인의 기존 가치는 새로운 환경과 충돌을 피할 수 없다. 새로운 사회에 편입되기 위해 ‘과거의 자신’을 버리는 것은 적응을 해야만 하는 이방인이라고 할지라도 불가능한 일이다. 개인의 역사를 바꾸는 것, 몸에 밴 체계를 버리는 것은 개인의 의지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다. 새로운 사회에서 개인의 기존 가치와 존재는 어떤 곳에 간직되거나 숨겨진다. 아마도 이곳은 사진 한 장일 수도 있을 것이고 새롭게 정착하면서 또 다른 삶을 시작하는 공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며 소중히 간직해온 어떤 물건일 수도 있다. 이는 자신의 기존의 가치를 유지하는 수단이자 자신의 현재의 존재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것들은 개인에서 하나의 아날로공으로, 즉 지각의 등가물로 작용하는 어떤 소재(사르트르Sartre, 2010:48)로써 작용하는 것이다. 이방인의 공간은 그 공간이 속한 현재와 또 다른 과거의 종합이다. 어쩌면 이러한 종합들이 세계를 더 비슷하게 만들어나가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일지도 모르지만 사회 속의 개인의 관점에서 볼 때 개인의 가치는 어디서 어떤 식으로 보존되고 유지되며 종합되는지 바라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는 이방인에게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는 것이지만 일반적인 도시인들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쉴 곳을 찾고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며 일부를 보관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의 일상은 사회에 귀속되어 있지만 여전히 개인으로써의 일상도 유효하다. 단지 도시인들이 언제나 눈앞에 있는 그것들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는 것 뿐이다. Temporary Londoner는 학업이라는 특정한 목적을 지니고 런던이라는 도시에서 생활하는 개인에 대한 작업이다. 그들은 모두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여느 도시인들처럼 그들만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런던이라는 메트로폴리탄에서 살아간다. 이러한 이방인으로써 그들이 선택한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물건들은 런던의 물건들이라거나 값나가는 물건들이라기 보다는 그들이 지금껏 살아오며 경험한 그들의 과거에서 살아숨쉬는 것들이다. 그리고 그들의 생활공간은 현재의 런더너의 모습에 그들이 가진 규칙과 관습이 더해진 모습으로 그들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를 지켜나간다. 현재 런더너이지만 그들이 이 곳, 런던에 정착하게 될 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그들의 가치와 존재는 지금의 도시와 융화되어 사회의 또 다른 모습을 만들고 개인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나가리라는 것이다.

Mattias

Mattias

Carolina

Carolina

Stefano

Stefano

Silvia

Silvia

Chris

Chris

Christina

Christina

Andy

Andy

Judith

Judith

Simon

Simon

Kamal

Kamal

Temporary Londoner

Work statement

A city is both organic and standardized. The rapidly changing urbanity offers as many opportunities, but is also enough to instill a sense of fear of being left behind. The organic city bestows roles to its societies and individuals to ensure its own survival, and the individual in turn gains relief of belonging by fulfill these roles. There are times an urbanite seeks to leave the city due to recognition of the self or doubt over the hectic lifestyle, but ultimately the individual who chose the urban life will come to terms that he or she will not break away from the bustle and will focus on his or her role as an urbanite than looking inwards. Such a course of voluntarily but bounded procedures serves to mandate the standard systems. The wording that ‘individuals may demand the right to liberty and to be accepted in their uniqueness, whereas society may only recognise them as a component, subject to its supra-individual laws’ (Simmel, 2007, p.160) applies not only to the overall society of today, but well-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in a contemporary city. Today’s cities ‘can be collectively orchestrated without being the product of the organizing action of a conductor’ (Bourdieu, 1990, p.53).

An individual’s urban life is an interaction between the city dwellers as Goffman(1990) or Garfinkel(1984) said. Actions are not solely of oneself or for oneself; but are evidently aware of others even if not undertaken for the sake of others. Daily lives are shap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self and others, and thereby hold significance. To adjust to a rapidly-changing city and to meet one’s motivations – or goals – of choosing such a life, one learns to let part of him or her go. Individual lives derived from relationships – the individuality that have been reverted to society – form our social foundation. ‘Actually the basic unit of a group is not the complete human person but only a portion of him—that portion which conforms to the common aspirations. To the extent that an individual belongs much of him drops out of the picture. This is not disproved by the fact that many a party member devotes himself body and soul to the Cause; the impassioned partisan expunges part of his possibilities to play his part wholly’ (Kracauer, 1995, p.22). The extent of belonging depends on the goals and the size of aspiration one seeks in the city.  Then would the expunged parts come together in a society as a whole individual? This leads to the question of whether an identity and values set within a relationship exist only as part of the society and no longer as an individual. The answer to if uniquely individual values persist in a web of complex relationships may be found from a stranger. Perhaps all urbanites are strangers. City dwellers chose as such because their livelihoods are in the city or what they seek may be found with greater ease in the city. Their days are shaped not because that is how it has been done thus far, but as a choice to be different.  Such difference may be deemed identical under the umbrella of a city, but we all aspire for something that is set apart of the standardized form of a city. We let ourselves to be taken by the tide of the urban flow saying that “I want something different” without even knowing what that difference would be. This, however, is their value and existence. And this is the source of the sense of being a stranger. ‘The aspects of things that are most important for us are hidden because of their simplicity and familiarity. (One is unable to notice something—because it is always before one's eyes.) The real foundations of his enquiry do not strike a man at all. Unless that fact has at some time struck him. And this means: we fail to be struck by what, once seen, is most striking and most powerful’ (Wittgenstein, 1986, p.50).

This work is about such hidden elements. It is about what we know but fail to found; the value and existence that are in us but lay unearthed as we move along with the fast pace of the city. As noted, all urbanites are foreigners. They conform to their society and give up certain parts of oneself in that feat. To be assimilated in today’s ever-shifting environment is to let go of a certain self. This is tantamount to forgoing one’s holistic existence and becoming a stranger in the city. This suggests the collision between individual and urban values; and this is more acute in true strangers in a substantial sense than those who are simply outsiders. Those who were born and raised in the city have absorbed its ways, conformed, and lead their lives without many ups and downs. These rules are the history of the society and the individual. The history of the society is not tumultuous within a short frame of time, and you may lead a comfortable life once you go along with the tide. But strangers may not avoid the collision between the individual history and that of the new society. Even as cities have come to offer similar life styles with globalization, previous individual value is bound to conflict in a new environment. To forsake who you had been to be part of a new society is an impossible feat even to strangers. To transform one’s history and the system that has grown on you lies beyond one’s scope of will power. In a new surrounding a person’s original values and existence are kept away. This could be in a photograph, in space where one’s building a new life, or in a prized possession. This serves as a means to retain one’s original value or to confirm where one stands at the moment. It is ‘a certain matter that acts as an analogon, as an equivalent of perception’ (Sartre, 2004, p.18) to an individual. A space is the sum of its present and the past. Such sums may drive us toward a more uniform world; but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in a society, it is a barometer of where and how our values persist. This is more prominent in strangers, but it also is a hint into how the rest of us found respite in the society, and confirm and safe-keep part of our values. Individual life is vested in the society, but is also valid in itself. It is just that urbanites fail to discover what is laying before them. The Temporary Londoner is the work regarding individuals living in the city of London with the specific objective of gaining an education. They all come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live in the metropolis with each of their own goals like any other urbanite. The items that have chosen as strangers are not those of London or are pricey, but what still breathes of their pasts. Their living spaces add their own rules and conventions to that of a contemporary Londoner to preserve each identity and value. They are currently Londoners, but nobody can tell if they will go on to stay in the city. But what is certain is that their value and existence will converge with the city to create something new and another chapter in individual history. 

--------------------------------------------------------------------------------------------------------------------------------------------------------------

작업노트

도시는 하나의 살아움직이는 유기체임과 동시에 정형화된 공간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의 모습은 하나의 개인에게 그 속도만큼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자칫하면 그가 속한 사회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유기체로써의 도시는 그 스스로의 생존을 위해 도시 안의 사회와 개인에게 역할을 부여하고, 개인은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개인이 그 도시에 속해있다는 안도감을 얻는다. 때로는 개인의 자신의 존재에 대한 자각에 의해, 혹은 바쁜 삶에 대한 회의감 등으로 도시를 벗어나기를 꿈꾸기도 하지만 결국 도시인이 되기를 스스로 선택한 개인은 스스로가 선택한 삶이기에 벗어날 수 없는 곳으로 간주하고 자기자신에 집중하기보다 도시인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더 집중한다. 이런 자율적이지만 결코 자유롭지만은 않은 일련의 과정들은 정형화된 시스템을 지킬 수 있게끔 강제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사회에서 개인은 자유와 특수성의 권리를 요구한다. 반면 사회는 그를 단지 초개인적인 사회적 법칙에 예속된 요소로 인정하려 한다.'(짐멜Simmel, 2007:15)는 말은 오늘날 사회 전체를 아우르는 말임과 동시에 특히 현대 도시에서의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가장 잘 드러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오늘날의 도시는 ‘지휘 없이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오케스트레이션’ (Bourdieu 1990:53)이다.

이러한 도시에서 개인의 일상은 고프만Goffman이나 가핑클Garfinkel이 말했듯이 사회구성원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만들어진다. 개인의 행동은 개인만의 것이라거나 순수하게 자기자신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타인을 위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분명 타인을 의식하는 행위들이다. 개인과 타인의 관계 속에서 일상은 만들어지고 이를 통해 비로소 사회 속에서 개별 일상에 대한 의미가 부여된다.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에 적응하며 살아가기 위해, 그리고 변화무쌍한 도시의 삶을 선택하게끔한 개인의 동기—달리말해 자신의 목적달성—를 위해 개인은 자기자신의 일정부분을 포기하고 살아간다. 타인과의 관계에 따른 개별 일상에 대한 의미, 즉 사회의 일부로 환원된 개인의 일부가 모여 사회가 지탱되는 근간이 되는 것이다. 실제로 집단의 기본 단위는 온전한 인격적 개인이 아니라 개인의 한 부분—집단적 염원에 부응하는 부분—이다. 개인의 ‘소속’정도가 클수록 개인의 더 많은 부분이 시야에서 사라진다. 대의에 혼신을 다하는 당원이 많다는 사실이 그에 대한 반론이 되지는 못한다. 열혈 당원은 자신의 역할을 온전하게 이행하기 위해 자신의 가능성 일부를 저버린다.(크라카우어Kracauer, 2012:38) 여기서 개인의 ‘소속’정도는 개인이 도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염원의 크기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에게서 사라진 부분들은 오롯이 사회에 귀속되어 그 합이 하나의 개인을 이루게 되는 것일까? 타인과의 관계 속에 설정된 개인의 정체성과 가치는 더이상 개인으로 존재하지 않고 사회의 일부로만 존재 가능한 것일까하는 의문이 생겨나게 된다. 복잡한 관계로 구성된 사회 속에서 개인만의 가치는 실재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에 대한 답은 이방인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어쩌면 모든 도시인은 이방인일지도 모른다. 도시인들은 그들의 삶의 터전이 도시이기 때문에, 그들이 얻고자 하는 것이 도시 안에 더 많이 있기 때문에 도시를 선택하고 그 도시 안에서 살아간다. 그렇게 살아왔기 때문에 살아가는 것이 아닌 다르게 살아가기 위해 선택하고 그들만의 일상을 만들어 간다. 비록 이 다르다는 것이 ‘도시’라는 이름 아래 묶여 모두 같은 것으로 치부되더라도 정형화된 도시의 모습과는 다른 무엇인가를 늘 바라고 원한다. 바라는 ‘무엇’이 무엇인지도 모른채 ‘나는 무엇인가 다른 것을 원해’라고 말하며 도시의 흐름 속에 몸을 맡긴채 살아간다. 하지만 이 무엇인가가 바로 그들 자신의 가치이며 존재이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그들 스스로를 이방인으로 느끼게 만드는 근원이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사물들의 측면들은 그 단순성과 일상성으로 인하여 숨겨져 있다. 우리는 그것들을 깨달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언제나 우리 눈앞에 있기 때문이다. 사람에게 자신의 탐구의 진정한 기초는 전혀 눈에 띄지 않는다. 이 사실이 언젠가 그의 눈에 띄지 않는다면. 그리고 이는, 한번 눈에 띄면 가장 이목을 끌며 가장 강력한 것이 우리 눈에 들어오지 않고 있음을 뜻한다.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 1993[1968] Philosophical Investigation:85)

이 작업은 바로 이런 숨겨진 것들에 대한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으면서도 찾지 못하는 것들, 이미 우리 안에 숨쉬고 있지만 도시의 빠른 흐름을 함께하느라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있는 가치와 존재에 대한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모든 도시인들은 하나의 이방인으로써 살아간다. 자신이 속한 사회에 충실해야하고 사회에 속하기 위해 자신의 일부를 포기한다. 오늘날 ‘사회에 동화된다는 것’은 –특히 급변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 자신의 존재의 일부를, 가치의 일부를 내려놓는 것이다. 이 내려놓음으로 인해서 개인은 완전한 개인으로서의 존재를 포기하는 것이며 필연적으로 도시에 속한 이방인이 되기를 자처한다. 이는 개인과 도시의 가치의 충돌을 의미하며 이러한 현상은 ‘진정한 이방인’, 즉 단순한 변방자outsider라기 보다 실제적 의미에서의 이방인stranger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왜냐하면 한 도시에서 나고 자란 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그 도시의 생리를 몸으로 흡수하여 그 안에서의 규칙에 순응하며 대개 큰 흔들림 없이 살아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규칙들은 한 사회의 역사이자 개인의 역사이기도 하다. 많은 경우 사회의 역사는 짧은 기간 속에서는 잔잔하게 흘러가고 이에 따라 개인 또한 이 흐름에 몸을 맡기기만 하면 큰 어려움없이 사회 속에서 살아갈 수 있다. 하지만 이방인의 경우 개인의 역사와 현재는 새로운 사회와의 충돌을 피할 수 없다. 글로벌화로 인해 전세계가, 특히 많은 도시들이 비슷한 삶을 영유하게 되었음에도 개인의 기존 가치는 새로운 환경과 충돌을 피할 수 없다. 새로운 사회에 편입되기 위해 ‘과거의 자신’을 버리는 것은 적응을 해야만 하는 이방인이라고 할지라도 불가능한 일이다. 개인의 역사를 바꾸는 것, 몸에 밴 체계를 버리는 것은 개인의 의지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다. 새로운 사회에서 개인의 기존 가치와 존재는 어떤 곳에 간직되거나 숨겨진다. 아마도 이곳은 사진 한 장일 수도 있을 것이고 새롭게 정착하면서 또 다른 삶을 시작하는 공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며 소중히 간직해온 어떤 물건일 수도 있다. 이는 자신의 기존의 가치를 유지하는 수단이자 자신의 현재의 존재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것들은 개인에서 하나의 아날로공으로, 즉 지각의 등가물로 작용하는 어떤 소재(사르트르Sartre, 2010:48)로써 작용하는 것이다. 이방인의 공간은 그 공간이 속한 현재와 또 다른 과거의 종합이다. 어쩌면 이러한 종합들이 세계를 더 비슷하게 만들어나가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일지도 모르지만 사회 속의 개인의 관점에서 볼 때 개인의 가치는 어디서 어떤 식으로 보존되고 유지되며 종합되는지 바라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는 이방인에게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는 것이지만 일반적인 도시인들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쉴 곳을 찾고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며 일부를 보관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의 일상은 사회에 귀속되어 있지만 여전히 개인으로써의 일상도 유효하다. 단지 도시인들이 언제나 눈앞에 있는 그것들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는 것 뿐이다. Temporary Londoner는 학업이라는 특정한 목적을 지니고 런던이라는 도시에서 생활하는 개인에 대한 작업이다. 그들은 모두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여느 도시인들처럼 그들만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런던이라는 메트로폴리탄에서 살아간다. 이러한 이방인으로써 그들이 선택한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물건들은 런던의 물건들이라거나 값나가는 물건들이라기 보다는 그들이 지금껏 살아오며 경험한 그들의 과거에서 살아숨쉬는 것들이다. 그리고 그들의 생활공간은 현재의 런더너의 모습에 그들이 가진 규칙과 관습이 더해진 모습으로 그들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를 지켜나간다. 현재 런더너이지만 그들이 이 곳, 런던에 정착하게 될 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그들의 가치와 존재는 지금의 도시와 융화되어 사회의 또 다른 모습을 만들고 개인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나가리라는 것이다.

Mattias
Mattias
Carolina
Carolina
Stefano
Stefano
Silvia
Silvia
Chris
Chris
Christina
Christina
Andy
Andy
Judith
Judith
Simon
Simon
Kamal
Kamal
Temporary Londoner